호주파견

호주 멜버른대학 행정학석사(MPA) 과정

dmrnw 2023. 7. 20. 13:35

호주 멜버른대학

멜버른대학은 1853년에 설립된 연구 중심 공립대학으로 캔버라의 호주국립대학교 및 시드니대학교와 함께 호주를 대표한다. 160년 역사 동안 9명의 노벨 수상자, 4명의 역대 호주 총리를 배출하였으며, 세계 대학 랭킹에서 호주 내 1위(사실 1위는 시드니대학과 업치락 뒤치락 하기는 한다), 세계 32위에 올라 있다 (2019 기준). 전체 학생 수는 약 52천 명 이다.

멜버른 대학 전경

행정학석사(MPA) 과정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분야에서 멜버른대학은 세계 17 (2019 QS랭킹 기준)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행정학석사 과정을 제공하는 멜버른대학의 공공정책대학원은 미 하버드대학의 케네디 공공정책대학원(John F. Kennedy School of Government, HKS)을 벤치마킹하여 설립한 기관으로, 실질적으로는 법대, 경영대 및 인문대가 공동 운영하는 통합 과정이다. 입학 자격을 실무 경력 3년 이상 자로 제한하며, 정부, 공공기관, 기업체, NGO 등에서 종사하고자 하는 공공정책 이론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국제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2018-2019 기간 중에는 호주 공무원, 공공기관 직원을 비롯하여 국제기구(UN) NGO 직원, 한국,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네팔 등의 공무원이 동 과정을 이수하고 있었다

공공정책대학원 수업
공공정책대학원 수업 모습

행정학석사(MPA) 과정의 수강과목

멜버른대학 행정학석사는 150학점의 1년 6개월 과정과 200학점의 2년 과정이 있다 (2년 과정에는 Enhanced 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학점이 왜 이렇게 많은지 깜짝 놀랄 일이지만 실상은 일주일에 1회 2시간 정도인 수업이 한국에서는 3학점이라면 멜버른대학에서는 12.5학점으로 카운트 된다. 즉 200학점 코스의 경우 16과목 정도를 수강 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는 졸업을 위한 필수 과목인 논문 또는 실기 수업이 25학점이기 때문에 15과목 정도를 수강 하게 된다. 매년 개설되는 항목에 차이가 있겠지만, 내가 수강 하였던 과목들 중 전공 필수 과목을 소개하자면 아래와 같다. 

 

1. (필수과목) The World of Public Administration

ㅇ 담당교수: Janine O'Flynn

 주요내용: 파트너십, 민관협력, 융합행정 등 최신 행정기법을 활용한 케이스 분석 및 솔루션 제시

 평가방법:

  - 에세이1 : 신공공행정관리, 민관협력사업, 행정혁신 관련 이슈제기 (1000 words)

  - 그룹발표: 민간주체를 통한 공공서비스 조달시 조직화 이슈제기

  - 에세이2 : 그룹발표에 대한 개인별 솔루션 제시 (1500 words)

  - 에세이3 : 에세이1에서 제기한 이슈에 솔루션 제시 (2500 words)

 

2.  (필수과목) The Nature of Governing

ㅇ 담당교수: Jon Pierre

ㅇ 주요내용: 행정학의 전통적 이론을 포괄적으로 다루며 특히 정부 본연의 공공성 및 책무성 회복에 집중

ㅇ 평가방법:

  - 에세이1 : 거버넌스와 관련된 이슈제기 (1000 words)

  - 그룹발표: 공공조직의 유연성 및 효율성과 책무성 간의 갈등

  - 에세이2 : 그룹발표에 대한 개인별 솔루션 제시 (1500 words)

  - 에세이3 : 에세이1에서 제기한 이슈에 대한 이론적 분석 및 솔루션 제시 (2500 words)

 

3.  (필수과목) The Rule of Law

ㅇ 담당교수: Alice Cashen

ㅇ 주요내용: 호주 및 세계 정부 운영을 위한 헌법 및 법적 체계 이해. 정부가 활동하는 법률 체계, 이론적 토대 및 실제 운영에 대한 국제화 및 세계화의 영향을 인식

ㅇ 평가방법:

  - 에세이1 : 에드워드 스노든의 NAS 폭로의 정당성을 자연법 또는 법실증주의 관점에서 논하시오 (1000 words)

  - 그룹발표: 호주 연방헌법상 원주민 recognition이 필요한지 평가하고 솔루션을 제시

  - 에세이2 : 그룹발표에 대한 개인별 솔루션 제시 (1500 words)

  - 에세이3 : 호주헌법이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적절하게 보장하고 있는가 (2500 words)

 

4.  (필수과목) Working Ethically

ㅇ 담당교수: Daniel Halliday

ㅇ 주요내용: 관리자가 복잡한 정책 및 관리 환경에서 직면하는 광범위한 윤리적 딜레마 고찰. 개인의 역할 수행에서 뿐 아니라 공공정책을 디자인하고 구현할 때 윤리에 대한 고급 이해 제공.

ㅇ 평가방법:

  - 에세이1 : 업무수행시 경험한 윤리적 갈등상황 제시(1000 words)

  - 그룹발표: 상담 상황에서의 비밀보장과 클라이언트 이해상충시 우리의 선택은?

  - 에세이2 : (자유주제) 한국 비정규직 제로 정책과 관련한 윤리적 고찰 (2500 words)

 

5.  (필수과목) Managing Public Finances

ㅇ 담당교수: Stephen Peterson

ㅇ 주요내용: 월드뱅크, USAID 등 국제원조기관의 개도국 공공세출과 재정책임성 평가를 위한 PEFA (Public Expenditure and Financial Accountability) 툴을 활용하여 실무능력 향상

ㅇ 평가방법:

  - 에세이1 : 인도네시아 공공재정관리 실태평가 (2000 words)

  - 에세이2 : 에세이1에서 언급한 이슈에 대한 리폼전략 수립 (3000 words)

 

6.  (필수과목) Using Evidence

ㅇ 담당교수: Jeff Borland

ㅇ 주요내용: 증거기반 정책수립 및 평가와 관련한 이론 및 실무능력 향상

ㅇ 평가방법:

  - 에세이1 : 증거기반 정책수립 및 평가 경험 제시 (1000 words)

  - 개인발표: 증거기반 정책수립의 중요성 및 적용방안 소개

  - 에세이2 : (자유주제) 한국 저출산대책 초등 온종일돌봄 정책도입의 증거기반 정책평가 (2000 words)

  - 에세이3 : 법인세 인하와 고용률 증가의 상관관계 사례분석 (1500 words)

 

7.  (필수과목) Managing Effectively

ㅇ 담당교수: Belinda Allen

ㅇ 주요내용: 조직행동 및 리더십 이론습득 및 실무 적용능력 배양

ㅇ 평가방법:

  - 에세이1 : 현직 관리자 인터뷰 및 리더십스킬 분석 (1000 words)

  - 그룹발표: (자유주제) 한국드라마 '미생'에서 보여지는 리더십유형 및 평가

  - 에세이2 : 그룹발표 케이스분석 (1500 words)

  - 에세이3 : 개인별 리더십 스킬 평가 및 부족역량 강화전략 수립. 2달간의 전략 실행결과 평가 (2500 words)

 

8.  (필수과목) Administrative Challenges in Practice

ㅇ 담당교수: Sue Olney

ㅇ 주요내용: 현재 호주정부가 도입 진행중인 복지제도 관련, 그 동안 습득한 아카데믹 지식 활용하여 정책 당사자와의 활발한 협업 실습

ㅇ 평가방법:

  - 에세이1 : NDIS-호주 국가장애보험제도 도입관련 예상이슈 분석 (1500 words)

  - 그룹발표: NDIS 문제점 진단 및 이니셜 솔루션 제시

  - 에세이2 : 그룹발표 케이스분석 및 솔루션 제시 (2500 words)

  - 에세이3 : NDIS 도입관련 이론 및 증거기반 이슈분석 및 구체적이고 최종적인 솔루션 제시 (4000 words)

 

9.  (필수과목) Public Administration Thesis

ㅇ 담당교수: John Vans Langmore AM

ㅇ 평가방법:

  - 격주 논문 지도 세미나 참석

  - 최종안 제출 및 P레벨 이상 평가 (10000 words)

 

호주 멜버른 대학의 학기

미국, 캐나다의 경우 한국과 달리 9월이 새로운 학년의 시작이지만, 호주는 한국과 같이 3월이 새로운 학년의 시작이다. 다만, 미리 시작하는 과목의 경우 2월중에 개설되는 경우도 있고 MPA과정의 경우 필수 입문 과목인 "The World of Public Administration"의 경우가 2월에 시작하였다. 겨울방학은 7월중 1달이며, 여름방학은 12월부터 2월까지이다. 대부분 11월 중후반이면 시험이나 에세이 제출이 마무리된다 (호주는 남반구이니 여름과 겨울이 반대이다) 

 

호주 멜버른 대학의 성적 체계

한국에서는 매우 생소하지만 멜버른대학에서는 H1, H2A, H2B, H3, P의 성적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A,B,C,D,F 방식의 성적과 비교하자면 아래와 같다. 즉, H1은 First Class Honors로 A에 상응하며, P는 Pass로 B- 나 C로 간주되고, 그 이하의  성적은 Pass를 하지 못한 성적인 D나 F로 간주된다. 

성적환산표
호주 성적의 미국식 성적으로의 환산표